운전 로봇, 들어봤는가? 최근 도쿄대학교 연구진이 소형 전기차를 직접 운전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로봇은 사람처럼 직접 핸들과 페달을 조작하며 신호를 인식하고 교차로를 통과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는 로봇이 앞으로 운전자를 대신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목차
무사시(Musashi) 운전 로봇의 능력
이번에 개발된 ‘무사시’ 운전 로봇은 카메라 센서로 전방과 주변을 인식하고, 실제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며 발바닥 패드로 페달을 밟을 수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무사시는 신호등 준수, 교차로 회전 등 기본적인 주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무사시의 운전 능력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코너링을 위해 브레이크를 밟을 때 힘 조절이 어려웠고, 이에 회전에 2분이나 걸렸다고 한다.
또 가속 페달 조작 시에는 경사로에서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앞으로 로봇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지속 보완하여 운전 능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봇 운전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미다.
운전 로봇 기술의 활용 분야
일단 로봇이 차량을 직접 운전할 수 있다면 어떤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크게 세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첫째, 대중교통 및 물류 운송 분야에서 운전 로봇 기술이 활용될 수 있고, 버스나 택시, 화물 트럭에 로봇 운전자를 탑재하면 인력 부족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둘째, 개인 모빌리티 서비스 부문에서 로봇 운전자가 주목받을 전망이며, 자율주행기술과 결합하면 스스로 주인을 픽업하고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전해주는 로봇 카가 가능해질 수 있다.
- 셋째, 특수 목적의 차량에도 운전 로봇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위험한 지역에서 작동하는 구급차나 소방차, 군용 차량 등에 로봇을 투입하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가가 내다본 기회와 과제
이런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로봇 운전에 내재된 기술적, 윤리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첫째, 복잡한 실제 도로 환경에서 로봇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 있다. 로봇의 센서와 인식 능력이 지속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둘째, 돌발 상황 발생 시 대응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기계가 인간 수준의 기민한 상황 판단과 대처를 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 셋째, 해킹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있다. 사이버 보안 대책과 더불어 책임 소재 등 법적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 넷째, 로봇에 대한 수용성 제고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안전성 확보는 물론 운전자와의 신뢰감 형성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머지않아 로봇 운전이 대중화될 수 있으며, 이는 혁신적인 차세대 모빌리티 서비스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전문가는 “로봇 운전은 자율주행기술과 더불어 이동혁명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운전 로봇 윤리적 쟁점
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운전대를 잡게 되면서 윤리적 논란도 불가피해 보인다. 가장 주목받는 이슈는 ‘트롤리 딜레마’다.
트롤리 딜레마란 불가피하게 다수와 소수 중 하나를 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누구를 구할지를 결정해야 할 때 발생하는 윤리적 갈등을 말한다.
예컨대 도로 위 방향 전환이 불가능한 트럭과 마주친 상황에서 앞에 한 명의 보행자, 옆길에 다수의 보행자가 있다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런 상황에서 로봇 운전자는 어떤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지 윤리적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로봇 운전자의 프로그래밍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다수를 구하는 평등주의적 접근법이 있을 수 있고, 연령이나 지위 등에 가중치를 두는 차별주의적 방식도 가능하다.
아니면 운전자 자신의 생명을 최우선시하는 이기주의적 경로를 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생명 윤리에 대한 로봇의 가치관과 판단 기준을 어떻게 설정할지가 관건이 되는데, 상충하는 가치 사이에서 합리적 해법을 모색해야 하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기계가 아닌 인간이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긴급 상황에서는 인간보다 로봇이 차갑지만 명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운전 로봇 이슈에 대한 전문가 의견
“로봇 판단의 기준은 단순한 수치 계산 방식으로는 안 됩니다. 상황별로 고민하고 인간 가치를 우선 반영해야죠. 예를 들어 어린이와 노인이 있다면 누구를 살려야 할까요? 이런 것들을 두고 사회적 합의를 이뤄나가야 합니다.”
정한영 로봇윤리학회 회장
“궁극적으로 생명 윤리 문제에서 인간 개입은 불가피할 것입니다. 하지만 긴급 상황에서는 로봇 판단이 오히려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인간은 순간적으로 정확한 판단을 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김연휘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로봇공학센터장
운전 로봇 & 인간 상생 가능?
로봇이 운전대를 잡게 되면서 운전 영역에서도 인간과 기계의 역할 재정립이 불가피해 보인다.
로봇 운전의 장단점을 면밀히 따져 적절한 분야를 나누고,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다.
우선 위험하거나 단순 반복적인 운전 업무에는 로봇을 투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복잡한 상황 판단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인간 운전자가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장거리 화물 운송이나 버스 노선 운전 등에는 로봇을 활용하되, 돌발 상황 발생 시에는 인간 운전자가 로봇을 모니터링하고 개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로봇 운전 윤리 기준 수립을 위한 사회적 논의도 지속돼야 한다.
생명 윤리를 비롯해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가치가 로봇 운전에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인간 존중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며, 로봇과 인간의 역할을 조율해나가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운전 분야에서도 결국 로봇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기술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한 전문가는 “로봇 운전은 진화하는 기술이지만 인간 중심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인간 존중, 생명 존엄성 등 인간적 가치를 담보할 때 비로소 지속 가능한 혁신 기술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